[제주감귤]제주 감귤 원물 사전

제주 감귤 파헤치기


1. 귤의 고장 ‘제주’


제주는 감귤 나무가 선사시대부터 자랄 수 있는 자연환경적 여건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제주도에서 감귤을 재배하기 시작한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삼국시대부터라고 추정합니다. 제주의 귤을 과일로 먹기 시작한 때는 고려시대입니다. 또한 고려시대는 제주의 귤을 정기적으로 중앙정부에 진상품으로 바치기 시작한 때이기도 합니다. 고려시대의 각종 사서에서 제주 경관에 감귤나무가 등장하는 것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귤의 고장’이라는 제주의 대표적인 호칭은 이러한 고려시대부터 일컬어지기 시작했습니다. 귤의 고장 제주는 고려시대부터 지금까지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2. 조선시대 최고의 진상품 감귤


조선시대에 감귤은 종묘에 제사를 지낼 때 신에게 바치는 제물로, 귀한 손님을 접대할 때, 왕이 신하들에게 특별히 내리는 하사품 등으로 취급되었던 귀한 과실이었습니다. 때문에 조선은 제주의 감귤재배에 각별한 관심을 보였으며, 감귤을 원활하게 공급받기 위해 과원과 상납과실을 관장하기 위한 전담 관서 ‘상림원’을 중앙에 세우기도 하였습니다. 조선시대 매년 겨울, 제주도에서 감귤이 진상되면 그 일부를 성균관 사학 유생들에게 나눠주고, 그들을 대상으로 ‘황감제’라는 과거를 실시하였습니다. 황감제의 ‘황감’은 익어서 빛깔이 누렇게 된 감귤을 의미합니다. 조선시대에는 이렇게 감귤을 통해 성균관 유생의 사기를 진작하고 학문을 권장하기도 하였습니다.


3. 감귤 진상의 부작용


감귤은 진상으로 바쳐지는 공식적인 용도 이외에도 제주 목사를 비롯한 관리들이 중앙에 재력가에게 뇌물로 바치는 등 사적인 용도로 사용하여 폐단이 있었습니다. 이처럼 공식적인 수취 외에 사적 용도로 사용되는 일이 많아지면서 그에 따라 감귤의 진상 액수는 규정보다 많아지게 되었습니다. 즉, 진상 액수 과다로 인한 폐단이 있었습니다. 또한 제주 관아는 더 많은 감귤을 징수하기 위해 감귤나무를 갖고 있는 집들에게 열매가 달리자마자 강제로 지키게 하였습니다. 8월경에는 직접 감귤나무의 열매 개수를 기록해 열매가 떨어지거나 손상이 있어 조금이라도 손실이 나면 감귤나무 주인에게 벌금을 물렸습니다. 또한 기한을 어기면 형벌을 가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감귤 진상의 폐단으로 인해 제주 도민들은 감귤 나무를 잘 심지 않았습니다. 심지어 뽑아버리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결국 감귤 과수원의 발달은 저해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했습니다. 감귤이 풍작을 이루어도 멀리 떨어진 섬 제주에서 중앙으로의 진상을 위한 운송 또한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제주에서의 운송은 바닷길을 이용해야 하기에 바람의 때를 기다려야 했습니다. 그러다 때를 만나지 못하면 감귤은 썩게 되고 이로 인해 문책을 받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운송 도중 풍랑을 만나 표류하기도 하고, 심지어 목숨을 잃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4. 제주의 ‘대학나무’ 감귤나무


제주 감귤은 1965년부터 증식 붐이 일어 1969년에는 식재열이 최고조에 달했습니다. 1964년에 413ha에 불과했던 감귤재배 면적이 10년 후인 1974년에는 27배인 11,200ha에 달할 만큼 빠른 성장을 이뤘습니다. 감귤은 다른 작물이나 과수보다 수익성이 높다는 점과 저리 융자로 감귤원 조성 자금을 지원하는 정부의 특별 지원 등의 이유로 급진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었습니다. 또한 제주도는 표고 해발 200m 이하는 특별한 저해 요인이 없는 한 재배가 가능했기 때문에 해수 피해 지역인 해안선을 제외하고는 제주 지역 어디나 귤밭이 없는 곳이 없을 정도만큼

확장되었습니다. 이렇게 고도의 성장을 이룬 1970년대의 감귤나무는 대학나무라 불렸습니다. 감귤나무 2그루만 있으면 대학 학비를 충당할 수 있을 만큼 수익이 좋았기 때문입니다.


5. 비타민의 보고 ‘감귤' : 감귤의 효능


첫 번째, 감기 및 만성질환 예방

귤에 풍부한 비타민C는 피부와 점막을 건강하게 만들어 감기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탁월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추운 날씨에 귤을 먹으면 몸의 체온을 유지시켜줘 추위에 버틸 수 있게 도움을 줍니다. 특히 귤의 껍질은 비타민c의 저장고라 할 수 있습니다. 귤의 노란색을 띠게 하는 카로티노이드 성분 중 베타크립토잔틴은 갱년기 여성의 골다공증 예방 효과가 알려져 있습니다. 귤의 비타민p는 혈관 관리에 효과적입니다. 비타민p에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 물질 플라보노이드의 일종 헤스페리딘 성분은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데 효과가 있어 이로 인해, 동맥경화·고혈압 등 심혈관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 이 비타민p는 과일 중 감귤류에만 들어있어 감귤로만 섭취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노화 방지와 피부개선

귤 1개에는 30mg 이상의 비타민c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비타민c는 피부와 점막을 튼튼하게 하고 기미와 주근깨를 없애 주고 미백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감귤의 기능 성분인 노밀린과 6,7-디하이드록시 베르가모틴이 피부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제주대학교와 공동연구로 밝혀냈습니다. 감귤의 노말린 성분과 6,7- 디하이드록시 베르가모틴 성분은 피부 콜라겐 생성량을 각 33%, 29% 높였는데, 이는 피부 주름 예방과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6,7-디하이드록시 베르가모틴에 아토피 및 여드름 등을 일으키는 염증인자(NO)의 생성을 억제해 피부 개선에 도움이 되는 항염 효과가 있음을 밝혀냈습니다.


세 번째, 변비 예방

<동의보감>을 보면 귤껍질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습니다. 성질이 따뜻하며[溫] 맛은 쓰고 맵고[苦辛] 독이 없다. 가슴에 기가 뭉친 것을 치료한다. 음식 맛이 나게 하고 소화를 잘 시킨다. 이질을 멈추며 담연(痰涎)을 삭히고 기운이 위로 치미는 것과 기침하는 것을 낫게 하고 구역을 멎게 하며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한다. 귤 알맹이에 불어 있는 하얀 실은 장 건강에 도움을 줍니다. 이 하얀 실은 ‘귤락’ 또는 ‘알베도’라고 불리는 섬유질로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식이섬유는 대장 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변비 예방과 완화에 도움을 줍니다. 때문에 귤을 먹을 때 하얀 실을 제거하기보단 함께 먹는 것이 좋습니다.


#원물사전 #제주감귤

영농조합법인 제주다 


대표전화 064-772-1293  | 대표이사 강석수 ㅣ 이메일 jejuda@hanmail.net
주소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납읍남로 65 ㅣ 개인정보관리자  copyright (c) kindjejumall.com all rights reserved.

사업자등록번호 616-81-89338ㅣ 통신판매 제2016-제주애월-0024호